본문 바로가기
만보 걷기 만번 기록

만보 만번 걷기 도전 (14)_뱃살 지방을 지구에 기부하기

by 너구리 삼식이 2022. 2. 14.

*** 14번 완수 ***

https://www.instagram.com/p/CZ9SvFbpoOu/?utm_medium=copy_link

 

[오늘 걷기 리포트 앤 스토리]

낮에 미세먼지가 '나쁨'이어서 걷기를 하지 않았다.
저녁을 먹고 나니, 미세먼저가 보통 수준으로 떨어져 야간 만보 걷기를 했다.

그런데, 왜 야간 걷기를 했을까? 그냥 편하게 쉬지 않고 말이다. 목표 '만보 만번 걷기'가 있기 때문이다. 목표가 없었으면, 아마도 야간 걷기는 커녕 주간 걷기도 열심히 하지 않을 것이다.

목표는 삶을 더 건강한 삶, 더 나은 삶, 더 행복한 삶, 더 부유한 삶으로 만드는 것 같다. 그 목표가 선한 목표일 때...

 

 

[뱃살 지방을 지구에 기부하기]

에너지 보존 법칙, 즉 열역학 제1 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생성되거나 사라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상대성 이론 공식, E=mc2에 따르면, 질량, 물질은 에너지의 한 종류이므로 에너지 보존 법칙은 ‘질량,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트를 할 때, 음식물을 조절하는 식이요법과 함께 몸에 비축된 에너지원, 즉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을 소모하는 운동을 합니다.

 

운동할 때는, 자동차 엔진이 연료를 태울 때 뜨거워지듯이, 몸에서 열이 나고, 이때 몸의 열을 식히기 위해 땀을 흘리게 됩니다.

 

따라서, 운동을 하면, 운동 중 소모되는 탄수화물, 지방 그리고 몸 밖으로 배출되는 땀만큼 체중이 감소합니다.

 

자동차의 경우, 연료의 일부만이 바퀴를 굴리는 운동에너지로 바뀌고, 나머지는 열로 손실됩니다. 마찬가지로, 운동 중에 소모되는 탄수화물과 지방도 실질적으로 근육에 힘을 주는 데는 일부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열과 호흡으로 방출됩니다.

 

운동할 때, 몸에 저장된 탄수화물이 먼저 소모된 후에 뱃살의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뱃살, 즉 체지방을 빼기 위해서는 지방이 소모되기 시작하는 30분 이상은 운동을 지속해야 합니다.

 

이처럼 운동을 하면, 뱃살 지방을 소모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열과 호흡은, 우리가 알게 모르게, 지구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는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 토네이도(tornado)를 발생시킬 수 있다.”라는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에 근거합니다.

 

‘나비 효과’는 지구 어딘가에서 일어난 아주 작은 변화가 지구의 날씨를 바꿀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나비의 날갯짓이 일으킨 아주 작은 에너지 변화가 토네이도와 같은 큰 바람으로 변화될 수 있다면, 건강한 몸을 만들기 위해 운동할 때, 배출되는 열과 호흡은 지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까요?

 

실질적인 데이터가 없을 뿐, 아마도 실로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왜냐하면, 운동할 때, 뜨거워지는 몸의 열과 움직임, 그리고 거친 호흡은 나비의 날갯짓 보다 훨씬 크니까요. 뿐만 아니라 운동할 때 발산하는 몸의 열과, 입과 코로 뱉어내는 이산화탄소는 자연의 식물에게 얼마나 좋은 먹거리인지 모릅니다.

 

이러므로, 이제부터 운동이나 다이어트할 때, 힘들다고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 대신, 운동할 때 없어지는 몸의 지방을 지구에 기부하는 것으로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즉, 나는 운동을 통해 “내 몸에 붙어 있는 뱃살 지방을 태워 지구에 좋은 에너지와먹거리를 제공하고 중”이라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지구는 보답으로 우리에게 건강을 주지 않을까요.

이런 점에서 다이어트, 체중감량 운동은 지구 사랑입니다.

++++++++++++

 

++++++++++